6-1
5/23
1) 정보처리 문제
DDL-만들기 (ex.alter, drop) -롤백 불가능
DML-조작 (ex. select, insert, update, delete) -롤백 가능
DCL-권한 (ex. grant, revoke)
alter : 제약조건, 컬럼 등 큰거를 수정
update : 레코드 값을 수정
2) 구조
-선형 구조
Que(큐) : FIFO (먼저 들어간게 먼저 나온다)
Stack(스택) : FILO (먼저 들어간게 나중에 나온다)
Deck(데크) - 양쪽 끝에서 노트의 삽입과 삭제가 허용
-비선형 구조 (입출력 모호)
: 트리, 그래프
3) 정규화
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표현 가능하게 한다
데이터 삽입시 릴레이션을 재구성할 필요성을 줄인다
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생성할 수 있다
4) 릴레이션의 기본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값을
가질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 -개체 무결성 제약조건
5) 트랜잭션이 수행을 하는 도중 수행이 잘못되었고 데이터베이스가 모순상태에 있을 때 ,
문제 있으면 롤백
없으면 커밋
(트랜잭션 : 작업처리의 단위)
6) 데이터베이스 설계 중 가장 먼저 수행되는 것 - 요구조건 분석 단계
7) 외래키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약조건 - 참조 무결성
8) 후보키가 만족해야할 두 가지 성질로 타당한 것 (기본키를 대신할 수 있는) -유일성, 최소성
9) 프로시저의 역할
장점: 보안, 일관성, 속도
단점: 구현하기 어렵고 불편하다
10) 용어
row=record=touple
컬럼=속성
필드: 행과 열이 교차하는 하나의 값
11) 집합함수
- count(*)를 제외한 모든 그룹함수들은 null을 무시한다
- 모든 자료형에 max, min 사용 가능
- 그러나, avg, sum은 숫자만 사용가능
12) join